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응급구조사 자격증 시험 정보와 취업 및 연봉

by 커리어러 2023. 6. 19.

응급구조사란 사고 현장, 이송 중 혹은 의료기관 등에서 환자를 상담하고 이송하거나 구조 업무를 담당하는 응급의료 전문인력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한국보건의료국가시험원에서 실시하는 국가시험에 합격해야 자격인정을 받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응급구조사 자격증의 취득방법과 취업 및 연봉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응급구조사

 

응급구조사 자격 조건

 

응급구조사는 업무의 범위에 따라 1급과 2급으로 구분이 되며 자격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합니다.

 

응급구조사 1급 

1. 대학 또는 전문대학에서 응급구조학을 전공하고 졸업(혹은 졸업 예정)한 자 

2. 외국의 응급구조사 자격을 받은 사람

3. 2급 응급구조사로 3년 이상의 업무 경험을 쌓은 사람

 

응급구조사 2 

1. 응급구조사 양성기관에서 양성과정을 이수한 자

2. 외국의 응급구조사 자격을 받은 사람

 

참고로 비전공자의 경우에는 일반인 양성교육기관인 영진대학 평생교육원에서 해당 과정을 이수한 후에 2급에 응시하고 3년 이상의 업무를 쌓으면 1급 자격 조건이 됩니다.

 

 

시험정보

 

자격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나누어지는데 필기시험의 경우 객관식 5지선다형으로 과목별 40% 이상을 득점하고 전체 60퍼센트 이상을 득점해야 하며, 실기시험도 60% 이상을 득점해야 합격이 가능합니다. 시험과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응급구조사 1급 필기 : 5과목 / 230문제 / 230점

1. 기본의학 : 해부학, 생리학, 병리학, 약리학, 공중보건학

2. 응급환자관리 : 응급환자 관리학, 응급환자 평가학,

3. 전문응급처치학총론 : 응급의학총론, 응급구조학총론, 응급처치학총론, 재난학, 환자 구조와 이송

4. 응급의료관련법령 : 의료법, 의료법 시행령, 의료법 시행규칙,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응급읠에 관란 법률 시행규칙

5. 전문응급처치각론 : 전문외상학, 전문심장소생술, 심전도, 내과전문응급처치학, 특수환자응급처치학, 노인, 소아 응급, 산부인과 응급, 정신, 행동 응급, 환경 응급

 

응급구조사 1급 실기 : 3문제 / 60점

1. 기관내 삽관, 정맥로 확보, 12유도 심전도 측정 및 판독

2. 내과환자평가, 빠른외상환자평가, 영아기도폐쇄처치법, 견인부목 적용, 후두튜브 삽입, 자동제세동기 이용 심폐소생술

3. 배근력

 

 

응급구조사 2 필기 : 5과목 / 140문제 / 140점

1. 기본응급처치학총론

2. 기본응급환자관리

3. 응급의료관련법령

4. 기본응급처치학각론

5. 응급의료장비

 

응급구조사 2급 실기 : 3문제 / 60점

1. 자동제세동기 이용 심폐소생술 빠른외상환자평가, 견인부목 적용

2. 영아기도폐쇄처치법, 입인두기도기 삽입 후 백밸브 마스크 환기법, 영아 심폐소생술, 흡인과 산소투여, 진공부목 적용

3. 배근력

 

응급구조사 자격증 상세보기

 

 

취업 및 연봉 전망

 

응급구조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에는 다양한 곳으로 진로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우선 병원의 응급구조사로 취업을 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공무원으로도 취업이 가능한데 해당 분야를 살펴보면 소방공무원, 해양경찰, 방호공무원, 청원경찰, 교정직공무원, 군인 등이 있습니다. 또한 일반 기업의 자체 방재실 또는 소방대에서 근무가 가능하며, 응급환자 이송을 전문으로 하는 민간 업체에도 취업이 가능합니다.

 

응급구조사의 연봉은 2021년 기준 평균 4,150만원 정도이고 하위 25%는 3,400만원이며 상위 25%는 5,200만원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응급 의료 서비스의 핵심전인 인력으로 전문성이 있는 직업이라 타직업군에 비해서 평균 연봉이 높은 편이며 앞으로의 연봉 전망도 밝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댓글